티스토리 뷰
'자유로움'이란 '외로움' 또는 '공허함'이랑 짝하기 쉬운 말입니다. 그럼에도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것은 아마도 피할 수 없는 타고난 운명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호젓하게 길을 나섰습니다. 정한 길은 공양왕릉뿐이니 아무 길로 가도 그리 가기만 할 터였습니다. 우리는 수역이마을을 거쳐 연안이씨 선산을 넘었습니다.원당골 뒷산은 생략하고 마을길을 걸어 청대골로 향합니다. 겨울이라 냇물은 맑고 풀섶 뒤로는 오리들이 한가로이 노닙니다.
해숭위 윤신지 묘
청대골 양평해장국집에서 길을 건너 산길을 오르면 머지 않아 새로 도로를 만드는 산을 깎아 만든 거대한 협곡이 나타납니다. 등산로를 걷다 보니 길 아래 커다란 묘가 나타납니다. 직감적으로 선조의 부마 해숭위 윤신지의 묘라고 생각했습니다. 맞았습니다.
윤신지는 서인의 거두 윤두수의 손자이자 영의정 윤방의 아들입니다. 선조의 따님 정혜옹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습니다. 나라에 충성하고 인격이 고매하였다고 전해지는데, 부마라는 것 때문에 저는 그동안 찾지 않았었습니다.
윤신지 묘갈
새로 나는 도로를 건너 우리는 능선길을 버리고 마을길로 들어섰습니다. 이 마을에는 시집올 때 남편이 새로 지은 예쁜 기와집과 느티나무를 지키면서 100년도 넘은 씨간장 보여주시던 할머니가 살고 계시던 곳입니다.
집에 이르니 수리중이었습니다. 예쁜 꽃담은 시멘트로 덕지적지 바르고, 벽돌 격자무늬는 생경한 새 벽돌로 바뀌고 있었습니다. 할머니는 작년 11월 돌아가시고, 주인은 바뀌어 집도 바뀌고 있었습니다. 세월은 그렇게 흐르고 있습니다.
성득식(成得識) 묘
할머니 집 뒤에는 오래된 묘가 있습니다. 전에도 왔었지만 고증을 못했는데, 이번에 살펴보니 문묘에 배향된 우계 성혼의 고조할아버지인 한성부윤 성득식의 묘네요.
이분은 성녕대군의 처남으로 안평대군의 양외삼촌 되는 분입니다. 성녕대군이 불과 14세에 일찍 죽자 이를 슬퍼한 태종이 성녕대군의 처족을 종친의 예로 대우하라고 하여 중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계유정란으로 정권을 잡은 수양대군(세조)은 성녕대군의 부인 성씨를 양아들인 안평대군하고 간통하였다는 죄목을 달아 관비로 보내고, 그 친정을 압박합니다..
공양왕릉
성득식의 묘 옆으로 난 작은 고개를 넘으면 바로 공양왕릉입니다.
한 무더기 흙을 쌓은 쓸쓸한 저 공양왕릉
나무하고 꼴 베는 걸 금지하는 이 없구나
蕭瑟園陵一坏土(소슬원릉일배토)
無人相呼禁樵蘇(무인상호금초소)
이 시는, 조선 초기의 대학자이자 대문장가였던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지은 「공양왕릉을 지나가면서(過恭讓王陵)」란 시 중 일부입니다.
성득식은 성현의 당숙이니 성득식의 묘에 왔다가 바로 뒤에 있는 공양왕릉을 들렀나봅니다. 아마도 때는 세조 말년에서 성종 초였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세종 때 왕릉 지킴이를 정해준 것도 이미 이때는 소용이 없었나 봅니다.
공양왕을 위한 조사(弔詞)
옛 사람 심은 늙은매화 꽃향기 여전한데
후미진 이곳에 내 올 줄 누가 알았으랴
만월대 전각 퇴락해도 내게는 멀기만 해
먼 길을 잡아 돌았으나 피할 길 없었네
내 가슴 속 사랑 조그만 불꽃에 불과하나
빛잃은 햇살이라도 걸음걸음 떨구려했건만
커다란 물이 일고, 커다란 불이 일고
커다란 바람이 이니, 작은 불꽃 어이하리
바람 그친 이 들판에 따뜻한 봄볕이 들면
시냇가 한줌 모래알
무덤가 향불 남은재
내가 떨군 작은 햇살이었음 아는 이 있겠지.
나도 오랜만에 공양왕릉에 이르러 여러 생각에 젖어 왕릉 사진을 담고, 공양왕을 위한 조사(弔詞) 지어 마음 속으로 읊어보았습니다.
우리는 배다리누리길을 거쳐 대장동 벌판길을 지나 화정까지 약 13km의 길을 휘적휘적 걸었습니다.
2015. 12. 17 카페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0) | 2018.09.28 |
---|---|
늦가을 심학산 그리고 출판도시 (2) | 2018.09.28 |
추억을 찾아간 가을 남산, 다시 추억을 만들어 옵니다 (2) | 2018.09.06 |
늦가을 파주삼릉 (2) | 2018.09.06 |
고양시 대자동 왕자의 계곡, 왕자길 (0) | 2018.07.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태일_따라_걷기
- 벚꽃마당
- 연희숲속쉼터
- 대온실 매화
- 창경궁 대온실
- 안산방죽
- 삼악산 케이블카
- 사가(佐賀)
- 서대문구_노동네트워크
- 서울운수노동자협의회
- 냉이꽃
- 보광사임도
- 별꽃
- 강매석교
- 큐슈 사가
- 2021년_노동절
- 이고운횟집
- 호수공원_복수초
- 사가 1박2일 여행
- 전노협
- 행주산성역사누리길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행주누리길
- 물의 도시 춘천
- 이한열기념관
- 소양강 안개
- 마장저수지 출렁다리
- 출렁다리
- 서대문구_노동자종합지원센터
- 서운노협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