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토요일(2018. 06. 09) '통일을 이루는 사람들' 주최로 '파주 연천 생명 평화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고려의 종묘에 해당하는 숭의전과 고구려 당포성지 그리고 북한이 가장 가까이 보이는 태풍전망대 등을 다녀왔습니다.

 

 

 

 

숭의전(崇義殿)은 임금을 모신 정전인 숭의전,

역대 명신을 모신 배신청(陪臣廳),

숭의전과 배신청을 수리할 때 신주를 임시로 안치하는 이안청(移安廳),

각종 제기를 보관하고, 음식을 차리는 전사청(典祀廳),

제관들의 의복을 보관하고, 환복(옷을 갈아 입음)을 하는 앙암재(仰巖齋)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앙암재에는 태조 왕건의 친필로 정몽주가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가져왔다고 전해지는 필적의 사본이 있습니다.

 

필적의 내용은 이백의 시(詩) '별동림사승(別東林寺僧)'입니다.

 

동림사 손님 전송하는 곳에 
달이 뜨고 흰 원숭이 우는구나
웃으며 이별하는 여산의 혜원스님
어찌 번거롭게 호계를 지나갔는가

 

東林送客處(동림송객처

月出白猿啼(월출백원제)

笑別廬山遠(소별여산원

何煩過虎溪(하번과호계)

 

숭의전에는 3구의 ()’()’로 적어놓았는데, 내가 초서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의 오기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 시는 이백(李白)이 중국의 명산인 여산(廬山)에 유람가서 동림사에 들렸을 때 옛 고사가 떠올라 지은 시입니다.

 

동진(東晉) 때 동림사에는 혜원(慧遠) 스님이라는 고승이 있었습니다.

혜원스님은 세속에 발을 딛지 않겠다며 여산과 동림사가 있는 호계를 떠나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느날 유명한 시인이기도 한 도연명(陶淵明)과 도사(道士) 육수정(陸修靜)이 찾아옵니다. 혜원 스님은 두 사람과 이별을 하다 이야기에 빠져서 호계를 벗어났다 합니다. 뒤늦게 세 사람은 호계를 벗어난 걸 알고 한바탕 웃음을 웃었다고 하는데, 이 고사를 후세 사람들은 호계삼소(虎溪三笑)’라고 합니다.

 

 

 

 

숭의전에서 이웃에 있는 당포성에 들렀습니다.

1400년 가까운 세월이 흘러 성은 제 모습을 잃었지만, 3면의 깎아지른 절벽과 한 면의 높은 성벽이 한눈에 보아도 이곳이 공략하기 힘든 요새임을 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