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김홍희 몽골방랑 - 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지은이 : 김홍희 | 출판 : 예담 | 출간일 : 2008-09-03
김홍희 몽골방랑 표지
1.
지난 내 생일에 바두기로부터 이 책을 선물 받았다.
난 오래 전부터 사막에 꽂혀 있었다.
관련 책들과 다큐들을 찾아보았고,
사하라에 가보고 싶었다.
싶/었/다
물론 나의 희망은 현실이 되지 못했지만,
때로는 생명의 흔적이 보이지 않거나 메말라가는 황량한 사막이
때로는 붉은 개양귀비가 끝없이 피어난다는 비온 뒤의 알제리 사막의 풍경이
시시때때로 내 닫힌 망막을 스치고 지난다.
그런 내 마음을 알았기에
바두기는 이 책을 나에게 선물했으리라.
고맙습니다. 책 잘 읽었습니다. ㅎ
몽골 초원에 핀 엉겅퀴/ 기준점을 잡을 수 없는 드넓은 초원은 내게 내 관념 속의 사막과 별반 다를 게 없다.
2.
나는 왜 그렇게 사막에 가보고 싶어했을까?
내가 사막을 본격적으로 좋아하게 된 것은 소비에트가 붕괴된 직후 나온 박상우의 단편소설 '사하라'가 그 시작이었을 것이다.
좋아한다고 그 이유가 항상 분명한 것은 아니다.
좋아하면서 좋아하는 이유가 생기기도 하니까 말이다.
어찌되었든 나는 사막을 좋아하였고,
남들에게 말해줄 수 있는 좋아하는 이유도 꽤 생겼다.
김홍희는 몽골을 방랑하고, 책을 내면서
부제(副題)로 '나는 아무 것도 보지 못했다'라고 달았다.
보고자 했던 것을 정말 보지 못해서였을 지도 모르고,
어쩜 특별히 구체적인 뭘 보러 간 것이 아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초원과 모래사막과 산맥과 하늘/ 양(염소인지도 모르겠다)들과 사람들이 살고 있다.
3.
김홍희는 이렇게 썼다.
'자유란 외로움의 또 다른 이름이다.'
마음에 와 닿는다.
내가 사막을 갈망하는 한 이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나는 '나'의 위치와 '너'의 위치를 지정해줄 기준점에 익숙한 삶을 살고 있다.
어디 나와 너 뿐이랴. 종로는 어디고, 광화문은 어디고,
A는 누구고, B는 누구고...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뭔가의 기준점을 가지고 살고 있다.
그런데 너무 익숙하기 때문인가.
그 기준점은 자꾸 흔들린다.
때로는 아지랑이 처럼 촛점을 잃기도 하고,
신기루처럼 이리저리 옮겨다녀 긴지만지 하기도 하다.
뭐가 옳은 것인지, 있는 게 정말 있기나 한 것인지...
몽골 사막의 노을
그런데
한없이 황량하고, 한없이 낯설어서 도무지 기준점을 찾을 수 없는 곳...
그런 곳에 간다면...
그래서 도무지 견딜 수 없는 근원적인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면,
오히려 내가 살고 있는 현실이, 공간이,
좀 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느껴질 것 같다.
그렇게 사막은 나를 정화시켜 줄 것 같다.
ps : 위의 사진들은 김홍희의 개인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http://www.kimhonghee.com/diary.html
2009. 05. 27 입력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노협
- 호수공원_복수초
- 벚꽃마당
- 보광사임도
- 행주산성역사누리길
- 이고운횟집
- 서대문구_노동자종합지원센터
- 물의 도시 춘천
- 창경궁 대온실
- 서운노협
- 안산방죽
- 대온실 매화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2021년_노동절
- 서울운수노동자협의회
- 서대문구_노동네트워크
- 전태일_따라_걷기
- 소양강 안개
- 연희숲속쉼터
- 행주누리길
- 마장저수지 출렁다리
- 별꽃
- 사가 1박2일 여행
- 강매석교
- 이한열기념관
- 냉이꽃
- 출렁다리
- 삼악산 케이블카
- 사가(佐賀)
- 큐슈 사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