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우리나라 산업재해 현황 - 우리 사회 안전한가?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 산업재해로 2,062명의 노동자가 죽었습니다. 하루 평균 5.65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매우 많은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고 있는데, 이 통계는 공무원재해보상법을 적용받는 우체국 노동자와 어선재해보상보험법을 적용받는 어선 노동자의 재해 사망자가 빠져 있는 수치입니다. 우체국 노동자와 어선 노동자의 재해 사망자를 합치면 훨씬 높은 수치가 나올 겁니다.
<최근 4년 간 산업재해 사망자 수(단위 명)>(노동부 발표 자료 재가공)
년 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산재사고 사망자 | 964 | 971 | 855 | 882 |
산재질병 사망자 | 993 | 1,171 | 1,165 | 1,180 |
산재사망자 | 1,957 | 2,142 | 2,020 | 2,062 |
2020년 사고 재해자는 92,383명, 질병 재해자는 15,996명으로 전체 산업 재해자는 108,379명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많은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처럼 산업재해로 인정받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매해 이렇게 많은 노동자가 산업재해를 당합니다.
<최근 대한민국 산업재해 현황>
년도 | 사고재해자 | 질병재해자 | 전체산업재해자 |
2019년 | 94,047명 | 15,195명 | 109,242명 |
2020년 | 92,383명 | 15,996명 | 108,379명 |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산업재해는 외국과 비교했을 때 어떤 수준일까요?
위의 표와 같이 우리나라 산재 사망사고는 늘 OECD 최고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위험한 작업을 외주 하청으로 돌리고, 산업재해에 대해 기업이 거의 책임을 지지 않는 게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난 2021년 10월 11일 현장실습에서 사망사고를 당한 홍정운 군의 경우와 같이 어처구니 없는 후진국형 산업재해 사고들이 늘 우리들 곁에 있는 것입니다.
언제까지 산업재해를 노동자의 불찰로 그 책임을 돌릴 건가요. 산업재해 사망을 획기적으로 낮춘 주요 선진국처럼 산업재해에 대해 기업의 책임을 훨씬 높여야 하지 않을까요?